국립국어원이 펴낸 책자 ‘우리 뭐라고 부를까요?’
시댁식구들만 높이 부르는 호칭에 문제제기가 있는 시대에 맞게 다시 부를 수 있는 적절한 표현 필요표 참조 [출처] 작성자 웰빙소녀 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◆ 결혼 후 가족호칭 남편입장

남편이 큰누나의 남편인 자의 형/자서/여동생의 남편이 남편의 남편인 재명부로 대우할 수 있는 형의 처남매의 처남매의 나보다 나이가 많을 때, 매형 처남의 아버지+어머니 장인(장인)/장모누이 처형/동서(형) 매제/동서(서쪽) 동생 처남/처남부인/처남부인 입장
부인이 시누이의 남편(위)시메부(아줌마)~>처남의 시누이(형)~>오케(나에게)오케, 나의 부모님을 섬기는 며느리 오라비+케집(오라비의 여자)/남편의 큰오빠+여동생의 처인 시숙(아줌마)/동서(형)남편의 손아래동생+동생(스님)계자/동서남편/남편/시메부 시브 호칭은 상하 관계없이 처제와 처제

나의 친척 호칭
외가 호칭외가 호칭국립국어원이 펴낸 책자 ‘우리 뭐라고 부를까요?’국립국어원이 펴낸 책자 ‘우리 뭐라고 부를까요?’